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

국민연금 개편! 더 내고 덜 받는다? 내 연금은 얼마나 줄어들까?

by restart70s 2025. 3. 19.

목차

  1. 국민연금 개편, 왜 필요한가?
  2. 보험료 인상과 연금 지급 변화
  3. 사례로 보는 개편안 영향
  4. 앞으로 국민연금은 어떻게 바뀔까?
  5. 마무리 및 대비 전략

국민연금 개편, "더 내고 덜 받는 시대"가 온다

국민연금 개편안이 추진되면서 "더 내고 덜 받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 국민연금 방식으로는 2055년 이후 기금 고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정부는 보험료율 인상, 연금 지급 개시 연령 조정, 수령액 감소 등의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러한 변화는 직장인, 자영업자, 미래의 연금 수급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국민연금 개편을 설명하는 인포그래픽


1) 국민연금 개편, 왜 필요한가?

고령화와 재정 악화 문제

국민연금은 현재 적립 방식으로 운영된다. 즉, 현재 근로 세대가 납부한 보험료가 현재 연금 수급자의 연금으로 지급된다. 하지만 출산율 감소, 고령화 심화로 인해 연금을 받을 사람은 늘어나고, 내는 사람은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연금 기금은 2055년 이후 고갈될 가능성이 높아 정부는 지속 가능한 연금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연금 개혁 방향

정부는 보험료를 더 걷고, 연금 지급 시기를 늦추며, 지급액을 줄이는 방향으로 개편을 검토 중이다.

  • 보험료율 인상: 현재 9% → 최대 15% 인상 가능성 (3월 20일 기준 13%)
    - 2026년부터 매년 0.5%p씩 단계적으로 인상하여 2033년에 13%에 도달하게 됩니다.
  • 연금 지급 개시 연령 조정: 기존 62세 → 65세 이상 연장 가능성 (미정)
  • 소득대체율 조정: 연금 지급액을 줄여 연금 재정을 장기적으로 유지

2) 보험료 인상과 연금 지급 변화

보험료율 인상: 내 월급에서 더 많이 떼인다?

현재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소득의 9%이다. 하지만 정부는 이를 최대 15%까지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예시) 보험료율 9% → 15% 적용 시 변화

월 소득 기존 납부액(9%) 인상 후 납부액(15%)
250만 원 22.5만 원 37.5만 원
400만 원 36만 원 60만 원
600만 원 54만 원 90만 원

보험료 인상이 현실화되면 월급에서 떼이는 금액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연금 지급 개시 연령 연장

현재 연금은 62세부터 지급되지만, 개편 후 65세 이상으로 연장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연금 지급 기간을 줄여 재정 부담을 낮추기 위한 조치다. (미정)

험료 인상으로 부담을 느끼는 직장인의 모습이 담긴 이미지


3) 사례로 보는 개편안 영향

① 40대 직장인 A씨의 경우

  • 현재 월 소득 400만 원, 예상 연금 수령액 130만 원
  • 개편 후 보험료 인상으로 월 납부액 36만 원 → 60만 원 증가
  • 연금 수령 시점 62세 → 65세로 늦춰질 가능성 (미정)
  • 최종 예상 연금 130만 원 → 110만 원 이하 감소 가능

② 20대 사회초년생 B씨의 경우

  • 현재 월 소득 250만 원, 예상 연금 수령액 80만 원
  • 보험료율 인상으로 월 22.5만 원 → 37.5만 원 부담 증가
  • 연금 지급 시기가 늦춰져 노후 자금 마련이 더 어려워질 가능성

이처럼 보험료 부담은 증가하지만, 연금 수령액은 줄어드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4) 앞으로 국민연금은 어떻게 바뀔까?

추가 개편 논의

현재 논의 중인 국민연금 개편안 외에도 추가 개편 가능성이 있다.

  • 소득대체율 조정: 현재 국민연금은 소득 대비 약 40% 수준 지급되는데, 이를 30% 이하로 낮추는 방안 검토 (3월 20일 기준 43%)
  • 퇴직연금 및 개인연금 활성화: 국민연금만으로 노후 대비가 어려운 만큼, 퇴직연금(IRP) 및 개인연금 가입을 권장하는 정책 추진 가능성

연금 수령액 감소를 걱정하는 노후 준비 중인 사람의 모습이 담긴 이미지


5) 마무리 및 대비 전략 

국민연금 개편 핵심 요약

보험료율 9% → 최대 15% 인상 가능성 (13%)
연금 지급 개시 연령 62세 → 65세 이상 연장 검토 (미정)
연금 지급액 축소 가능성 (소득대체율 하락) (40% 43%)
미래 세대 부담 증가로 개인연금 및 퇴직연금 필요성 증가

국민연금 개편에 대비하는 방법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미리 확인하기
퇴직연금(IRP) 및 개인연금 활용하기
재무 계획 수립 및 노후 대비 전략 마련하기

국민연금만으로 노후를 대비하기 어려운 시대다.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추가적인 연금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